맨위로가기

국제 수로 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수로 기구(IHO)는 해상 항해 안전을 위해 해도 및 수로 간행물 제작에 관한 국제 협력을 증진하는 정부 간 기구이다. 19세기 해양 국가들의 수로국 설립에서 시작되어, 1919년 런던에서 24개국이 참여한 국제 수로학자 회의를 통해 국제수로국(IHB) 설립이 결정되었다. 1921년 모나코에 본부를 두고 활동을 시작했으며, 1970년 국제수로기구(IHO)로 개편되었다. IHO는 수로 측량 표준 개발, 해도 제작 표준화, 국제 협력 등을 수행하며, 회원국 간의 기술 교류와 해양 정보 공유를 통해 해상 안전을 도모한다. IHO는 또한 '대양과 해양의 경계'와 같은 간행물을 발행하며, 전자해도 표준 개발에도 기여한다. 현재 IHO는 동해 명칭 문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이견을 조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역 - 연해
    섬, 반도, 군도 등으로 대양과 구분되는 바다는 연해라고 하며, 법률적, 지리적 정의가 존재하고, 각 대양별로 다양한 연해가 존재하지만, 일부 연해의 명칭과 범위는 복잡한 국제 관계와 얽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지속 가능한 이용과 보전 노력이 요구된다.
  • 해역 - 지중해 (해양학)
    지중해는 흑해, 에게해 등을 포함하는 해역으로, 증발량에 따라 농축 분지와 희석 분지로 구분되며, 동해는 지중해를 형성할 조건을 갖추었으나 태평양 해류의 영향으로 독립적인 해수 순환을 가지지 못한다.
  • 국제 표준 - 국제단위계
    국제단위계(SI)는 7개의 기본 상수 값을 고정하여 정의되는 국제적인 측정 단위 체계로, 2019년 재정의를 통해 자연 상수에 기반하여 측정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향상시켰다.
  • 국제 표준 - 블루 플래그
    블루 플래그는 국제 환경 교육 재단에서 해변, 마리나, 보트 관광 사업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친환경 인증으로, 환경 교육, 수질, 환경 관리, 안전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보트 기반 관광 활동도 포함된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국제 수로 기구
개요
이름국제수로기구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프랑스어 이름Organisation hydrographique internationale
약칭IHO
창립1921년 6월 21일
위치모나코 공국
회원국100개 회원국 (2개국은 자격 정지) (참조)
사용 언어영어, 프랑스어
사무총장마티아스 요나스 박사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종류국제 기구
목적세계 해운국의 수로 당국 간의 협조, 수로 업무에 관한 정보 및 자료 교환, 해도를 포함한 수로 도서의 국제적 통일 촉진
이전 명칭국제수로국 (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관련 조직해상보안청 (일본의 수로 관청)

2. 역사

19세기 여러 해양 국가들은 자체 수로국을 운영하며 해도와 항해 간행물을 발행했지만, 국가별로 형식과 절차가 달라 표준화의 필요성이 커졌다. 1889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해사 회의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국제 회의에서 영구적인 국제 위원회 설립이 제안되었다.[4]

본격적인 움직임은 1919년 영국프랑스의 국가 수로학자들이 협력하여 런던에서 국제 수로학자 회의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 24개국 대표가 모인 이 회의에서는 해도 및 수로 간행물의 작성법 통일, 신속한 정보 교환 시스템 구축, 수로 전문가 간 협의 기회 마련 등을 목적으로 하는 영구 기구 설립이 논의되었고, 이는 현재 IHO의 주요 목적으로 이어지고 있다.[5]

이 회의의 결과로 1921년 18개 회원국을 기반으로 국제수로국(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IHB)이 창설되었다. 해양학에 조예가 깊었던 모나코의 알베르 1세 공작의 제안을 받아들여 기구의 본부는 모나코에 설치되었다.[5] IHB는 항해의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수로 도지 표기 통일, 각국 수로 기관 간 협력 조정, 해도 제작 기술 및 수로학 연구 등을 주요 활동 목표로 삼았다.[19][20]

1970년, 회원국들이 합의한 새로운 국제 협약에 따라 기구는 현재의 명칭인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로 개편되었다.[7] '국제수로국'이라는 명칭은 IHO 사무국을 지칭하는 용어로 계속 사용되다가, 2016년 11월 협약 개정이 발효되면서 공식적으로 'IHO 사무국'으로 변경되었다.[3] IHO는 5년마다 총회 성격의 국제 수로 회의(International Hydrographic Conference)를 개최하여 회원국 간의 논의와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21]

2. 1. 설립 배경

19세기 동안 많은 해양 국가들은 해군 및 상선의 선박 항해를 개선하기 위해 자체적인 수로국을 설립하여 해양 간행물, 해도 등을 제공했다. 그러나 국가별로 수로 측량 절차, 해도 및 간행물 형식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여 표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889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해사 회의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구적인 국제 위원회"를 설립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이후 1908년과 19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 항해 회의 및 국제 해사 회의에서도 유사한 제안이 반복되었다.[4]

결정적인 계기는 1919년, 영국과 프랑스의 국가 수로학자들이 국제 수로학자 회의를 소집하기 위해 협력하면서 마련되었다. 같은 해 7월 24일, 런던에서 24개국의 수로학자들이 모여 제1차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5]

  • 모든 해양 국가가 해도 및 모든 수로 간행물의 준비, 제작, 생산에 유사한 방법을 채택하도록 유도
  • 생산된 결과를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
  • 모든 국가 간 수로 정보의 신속한 상호 교환 시스템 구축
  • 세계 수로 전문가들이 수로 문제에 대해 협의하고 논의할 기회 제공


이러한 목적은 오늘날 국제수로기구(IHO)의 핵심 목표로 이어지고 있다.[5]

1919년 회의의 결과로 영구적인 기구 설립이 결정되었고 운영 규정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1921년, 국제수로국(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IHB)이 공식 출범했다. 모나코의 알베르 1세 대공이 기구 본부를 유치하겠다는 제안을 함에 따라 본부는 모나코 공국에 자리 잡게 되었다.[5] IHB의 초대 회장은 영국의 존 패리 경(John Parry)이 맡았다.[6][7]

IHB는 다음 18개국을 창립 회원국으로 시작했다. 러시아 제국은 회원국은 아니었지만, IHB 설립 필요성을 논의한 회의가 1908년과 19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바 있다. 이탈리아미국은 1922년에 가입했다.



1970년, 회원국 간의 새로운 국제 협약이 체결되면서 기구는 현재의 명칭인 국제수로기구(IHO)로 개편되었다. 이 개편은 당시 프랑스의 가이 샤텔(Guy Chatel)의 주도로 이루어졌다.[7] '국제수로국(IHB)'이라는 명칭은 IHO 사무국을 가리키는 용어로 계속 사용되다가, 2016년 11월 8일 협약 개정이 발효되면서 공식적으로 'IHO 사무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사무국은 선출된 사무총장, 2명의 지원 이사, 그리고 모나코 본부의 소규모 정규 직원(2020년 기준 1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3]

IHO는 항해의 안전 증진을 목표로 수로 도지 표기 통일, 각국 수로 기관 간의 협력 조정, 해도 제작 기술 및 수로학 연구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19][20] 또한, 5년마다 총회 성격의 국제 수로 회의(International Hydrographic Conference)를 개최하여 회원국 간의 논의와 협력을 도모한다.[21]

2. 2. 국제수로국(IHB) 설립 (1921년)

19세기 동안 많은 해양 국가들은 해군 및 상선의 선박 항해를 개선하기 위해 자체적인 수로국을 설립하여 해양 간행물, 해도, 기타 항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러나 각국의 수로 절차, 해도, 간행물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적인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889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해사 회의에서는 "영구적인 국제 위원회" 설립이 제안되었다. 유사한 제안은 1908년과 1912년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 항해 회의 및 국제 해사 회의에서도 반복되었다.[4]

본격적인 설립 논의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진전되었다. 1919년, 영국프랑스의 국가 수로학자들이 협력하여 국제 수로학자 회의 소집을 추진했다. 회의 장소로는 런던이 선정되었고, 1919년 7월 24일 24개국의 수로학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국제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5]

  • 모든 해양 국가가 해도 및 모든 수로 간행물의 준비, 제작, 생산에 유사한 방법을 채택하도록 유도
  • 생산된 결과를 가장 편리한 형태로 가공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
  • 모든 국가 간 수로 정보의 신속한 상호 교환 시스템 구축
  • 전 세계 수로 전문가들이 수로 문제에 대해 협의하고 논의할 기회 제공


이러한 목적은 현재 국제 수로 기구(IHO)의 주요 활동 목표로 이어지고 있다.[5]

1919년 런던 회의의 결과로 영구적인 기구 설립이 결정되었고 운영 규정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1921년, 18개 회원국을 시작으로 국제수로국(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IHB)이 공식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모나코의 알베르 1세 공작은 해양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IHB 본부를 유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그의 제안이 받아들여져 기구의 본부는 모나코에 자리 잡게 되었다.[5] IHB의 초대 회장은 영국의 존 패리 경(Sir John Parry)이 맡았다.[6][7]

IHB 창설 당시의 원 가맹국은 다음과 같은 18개국이었다.



러시아 제국은 원 가맹국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IHB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회의가 1908년과 19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된 바 있다. 이탈리아미국은 1922년에 가입했다.

2. 3. 국제수로기구(IHO)로 개편 (1970년)

1921년 6월 설립된 국제수로국(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IHB)은 국제 수로 기구(IHO)의 전신이다.[6][7] 영국의 존 패리 경(John Parry)이 초대 회장을 맡았다.[6][7] IHB는 항해의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수로 도지의 표기 통일, 각국 수로 기관의 협력 조정, 해도 제작 기술 및 수로학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19][20] 해양학자로도 알려진 모나코 대공 알베르 1세의 초청으로 IHB 본부는 모나코에 자리 잡게 되었다.

1970년, 프랑스의 가이 샤텔(Guy Chatel)의 주도 하에 회원국들이 합의한 새로운 국제 협약이 마련되면서, 기구는 현재의 명칭인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로 개편되었다.[7] 하지만 '국제수로국(IHB)'이라는 명칭은 2016년 11월 8일까지 IHO의 사무국을 지칭하는 데 계속 사용되었다. 이날 협약에 대한 주요 개정이 시행되면서 사무국은 공식적으로 "IHO 사무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IHO 사무국은 선출된 사무총장, 2명의 지원 이사, 그리고 모나코 본부의 소규모 정규 직원(2020년 기준 18명)으로 구성된다.[3]

IHO는 설립 당시의 목적을 이어받아, 항해 안전을 위한 수로 도지 표기 통일, 각국 수로 기관 간 협력 조정, 해도 제작 기술 및 수로학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19][20]

IHB 설립 당시 원 가맹국은 18개국이었다.



이탈리아미국은 1922년에 가입했다. IHB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회의는 1908년과 1912년에 러시아 제국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되었으나, 러시아 제국은 원 가맹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IHO는 5년에 한 번씩 총회로서 국제 수로 회의(International Hydrographic Conference)를 개최한다.[21]

3. 구조

국제 수로 기구(IHO)는 항해의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수로 도지의 표기 통일, 각국 수로 기관의 협력 조정, 해도 제작 기술 및 수로학 연구를 수행한다.[19][20] 1921년에 설립된 국제 수로국(International Hydrographic Bureau, IHB)을 전신으로 하며, 1970년에 현재의 조직으로 재편되었다. 해양학자로도 알려진 모나코 대공 알베르 1세의 초청으로 IHB 본부는 모나코에 위치하게 되었다.

IHB의 원 가맹국은 다음과 같은 18개국이다.



러시아 제국은 원 가맹국은 아니었지만, IHB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회의가 1908년과 1912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렸다. 이탈리아미국은 1922년에 가입했다.

IHO는 사무국과 이사회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5년마다 총회인 국제 수로 회의(International Hydrographic Conference)를 개최한다.[21] 사무국과 이사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사무국

2016년까지 IHO 사무국은 의장 1명과 이사 2명으로 구성된 운영 위원회가 관리했다. 2016년 11월 8일, IHO 협약 개정안이 발효되면서 사무국은 사무총장이 이끌고 두 명의 이사가 보좌하는 체제로 바뀌었다. 초대 사무총장은 호주의 로버트 워드(Robert Ward)가 맡았다.[7] 이전과 같이 사무총장과 두 이사는 정기 IHO 총회(이전 명칭: IHO 회의)에서 회원국들이 선출한다.

사무국은 다수의 기술 전문가, 행정가, 지원 인력으로 구성된다. IHO의 기술과 전문 지식은 주로 회원국 인력으로부터 나오는데, 이들은 다양한 IHO 위원회와 실무 그룹에 참여하여 기술적으로 기여하며, 때로는 초청된 업계 전문가의 지원을 받기도 한다.

IHO 회원국 중 일부로 구성된 이사회는 매년 회의를 열어 IHO의 업무를 감독한다. IHO의 모든 기관 운영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IHO 공식 웹사이트(www.iho.int)에서 확인할 수 있다.[8][9]

3. 2. 이사회

국제 수로 기구(IHO) 회원국의 일부로 구성된 이사회는 매년 회의를 열어 IHO의 업무를 감독한다.[8][9] IHO의 모든 기관 운영 방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IHO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8][9]

4. 기능

(내용 없음)

4. 1. 교육 훈련

국제 수로 기구(IHO)는 수로 측량 능력과 해도 제작 표준을 개발하여 해상 항해의 안전을 보장한다.[10] IHO는 회원국의 수로 측량 능력을 개발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국제 측량사 연맹(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s Géomètres, FIG) 및 국제 지도 제작 협회(ICA)와 협력하여 IHO의 역량 표준을 만들었다.[5] 이 표준은 회원국의 각 수로국 및 해도 제작자를 교육하고 훈련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IHO는 수로 측량 및 해상 항해를 가르치는 고등 교육 기관을 위한 강의 계획서도 제작한다. IHO는 또한 회원국의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감독하고 승인하는 자문 위원회를 두고 있다.[5]

4. 2. 표준화

1968년 이후 국제 수로 기구(IHO)는 수로 측량 표준의 업데이트된 판을 정기적으로 발행해 왔으며, 가장 최근 판은 2008년에 발행되었다.[5][11] 이러한 간행물들은 기술 발전과 국제 해운 수요 변화를 반영하도록 설계되었는데, 특히 1980년대 전자 해도 관련 장비의 등장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5]

IHO는 해도 제작에 사용되는 사양, 스타일, 기호를 표준화하기 위해서도 노력한다.[5] 1971년에는 회원국들이 INT 차트라고도 불리는 단일 해도 시리즈를 사용하도록 했다.[5] 이 협정에 따라, 한 회원국이 다른 회원국의 기존 해도가 다루는 지역에 대한 해도를 발행하고자 할 경우, 중복되는 해도는 원본과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작해야 한다. 1984년에 발행된 IHO 간행물 M-4는 해도에 대한 구체적인 국제 표준을 설정했다.[5]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가 등장하면서, IHO는 전자 해도 데이터를 선박에서 전송하고 표시하는 방식의 표준화 필요성을 명확히 인지하게 되었다. 전자 해도 데이터는 ENC(Electronic Navigational Chart)라는 국제 데이터베이스에서 표준화되고 분류되었다. 이 데이터가 발행자로부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방식과 ECDIS의 표시 및 기능 역시 표준화되었다.[5]

국제수로기구는 선박 교통 안전 강화와 해양 환경 보전 촉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로 업무와 기술의 중요성을 회원국들이 널리 알리도록 하기 위해 6월 21일을 '''세계 수로의 날'''로 지정했다. 세계 수로의 날은 2005년 11월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었으며, 국제수로기구의 설립일을 기념하여 정해졌다.

4. 3. 국제 협력

국제 수로 기구(IHO)는 지역 수로 위원회(Regional Hydrographic Commissions, RHC)의 구성을 장려해왔다. 각 RHC는 해당 지역 내 국가들의 측량 및 해도 제작 활동을 조정하고, 공통의 수로 관련 관심사를 다루는 협력의 장 역할을 한다. 현재 15개의 RHC와 IHO 남극 수로 위원회(Hydrographic Commission on Antarctica, HCA)가 활동하며 사실상 전 세계 해역을 포괄하고 있다. 또한, IHO는 정부간 해양학 위원회(IOC)와 협력하여 해양 일반 수심도(GEBCO)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관리한다.[5]

IHO는 항해의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수로 도지의 표기 통일, 각국 수로 기관 간의 협력 조정, 해도 제작 기술 및 수로학 연구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19][20]

더 나아가 국제수로기구는 선박 교통 안전 강화 및 해양 환경 보전 촉진에 있어 수로 업무와 관련 기술의 중요성을 회원국들이 널리 알리도록 독려하기 위해 매년 6월 21일을 '''세계 수로의 날'''(World Hydrography Day)로 지정했다. 이 날짜는 국제수로기구의 설립일을 기념하는 것으로, 2005년 11월 유엔 총회에서 공식 채택되었다.

5. 주요 활동 및 성과

국제 수로 기구(IHO)는 해양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를 거두고 있다.


  • 해저 탐사 및 해상 이동 지원: 안전한 항해와 해양 활동을 위해 필수적인 해저 지형 탐사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해상 이동을 지원하는 기준을 마련한다.
  • 국제 표준화 주도: 해상 측정 방법, 수로 측량 용어, 해양 지도 제작 관련 규격, 전자해도와 같은 항해용 지리 정보 시스템(GIS)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적 표준화를 이끌어 통일된 기준을 제공한다. 이는 전 세계적인 해양 정보의 호환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해상 안전 정보 전파 효율성 증대: 항행 경보, 기상 정보 등 선박의 안전 운항에 필수적인 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선하여 해상 사고 예방에 힘쓴다.
  • 전문 인력 양성: 수로 기술자 및 항해 지도 제작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하여, 각 회원국의 수로 업무 역량 강화를 돕는다.

6. 간행물

국제 수로 기구(IHO)는 표준, 지침, 관련 문서 등 대부분의 간행물을 IHO 웹사이트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한다.[12] 주요 간행물로는 ''국제 수로 검토'', ''국제 수로 게시판'', ''수로 사전'', ''연감'' 등이 있다.[12] IHO는 해상도 및 수로와 관련된 국제 표준을 발행한다. 대표적으로 전자해도에 사용되는 인코딩 표준인 S-57(''디지털 수로 데이터에 대한 IHO 전송 표준'')이 있다.[11]

2010년, IHO는 해양 데이터 및 정보를 모델링하기 위한 새로운 현대적인 수로 공간 정보 표준인 S-100을 도입했다.[13] S-100 및 그 하위 제품 사양은 IHO 웹사이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레지스트리를 기반으로 한다. S-100은 ISO 19100 시리즈의 지리 표준에 맞춰져 있어 현대적인 공간 데이터 표준과 완벽하게 호환된다.[13]

S-100은 ISO 19100을 기반으로 하므로 다른 데이터 제공자들도 해양 관련(비수로) 데이터 및 정보에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정부 및 민간 부문의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 제공자들은 UN 국제 해사 기구(IMO)에서 승인한 e-내비게이션 개념 구현의 일환으로 S-100을 사용하고 있다.[13]

주요 간행물 시리즈 중 다른 하나는 S-23, ''대양과 해역의 경계''이다. 제3판은 1953년에 출판되었으며,[14] 1986년에 작업이 시작된 제4판은 2002년 이후 초안 상태로 남아 있다.[15] 이 초안은 IHO 회원국에 배포되었지만, 1953년 판에서 '동해(일본해)'로 명명된 해역의 국제 표준 명칭에 대해 대한민국일본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식 출판이 보류된 상태이다.[16]

7. 회원국

다음 국가는 국제 수로 기구(IHO) 회원국이다.[26]


8. 동해 명칭 문제

국제 수로 기구(IHO)의 간행물 S-23, ''대양과 해역의 경계''는 동해 명칭과 관련된 국제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 현재 공식적으로 통용되는 판본은 1953년에 발간된 제3판으로, 이 판본에서는 해당 수역을 "''Japan Sea''"로 단독 표기하고 있다.[22][23]

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 제15회 IHO 총회에서 해당 명칭이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라고 주장하며, 이를 한국에서 사용하는 명칭인 "동해"로 변경하거나 병기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일본해 명칭의 역사적 정당성을 주장하며 한국 측의 요구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S-23 제3판이 오래되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86년부터 제4판 개정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동해 명칭 문제는 개정 작업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다. 2002년 IHO 사무국은 명칭 합의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해당 수역의 명칭을 공란으로 남겨둔 제4판 초안을 마련했으나, 회원국 간 이견으로 인해 공식 채택되지 못하고 초안 상태로 남아있다.[15][16]

이후 2007년2012년 IHO 총회 등에서도 대한민국일본 간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서 S-23 제4판 개정은 계속 미뤄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동해가 "''Japan Sea''"로 단독 표기된 1953년 제3판이 현재까지 국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16]

8. 1. "대양과 해양의 경계" S-23 제4판 (2002) 초안

국제 수로 기구(IHO)의 주요 간행물 중 하나는 S-23, ''대양과 해역의 경계''이다. 이 간행물의 제3판은 1953년에 출판되었으며[14],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986년부터 제4판 개정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2002년에 마련된 초안은 여러 논쟁으로 인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못하고 초안 상태로 남아 있다.[15]

1953년에 제정된 S-23 제3판에서는 해당 수역을 "''Japan Sea''"로 단독 표기하고 있다.[22][23] 대한민국1997년 제15회 IHO 총회에서 이 명칭이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라고 주장하며, 이를 한국에서 사용하는 명칭인 "동해"로 변경하거나 병기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일본해 명칭의 역사적 정당성을 주장하며 한국 측의 요구에 반대했다.

2002년 4월 제16회 IHO 총회에서 대한민국은 S-23 개정판에 '동해' 명칭 병기를 다시 요구했다. 같은 해 8월, IHO 사무국 역할을 하는 국제수로국(IHB) 이사회는 이 문제가 정치적으로 민감하며 회원국 간 합의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논란이 되는 일본해/동해 부분을 공란으로 남겨둔 제4판 최종 초안을 회원국에 배포하고 찬반 투표를 요청했다. 일본 정부는 이에 즉각 반발하며, 일본해 명칭이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는 점과 한국 주장의 문제점을 회원국들에게 알리며 기존 명칭 유지를 주장했다.[16] 이 일을 계기로 일본 내에서도 일본해 명칭 논쟁이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2002년 9월, 새로 구성된 IHB 이사회(그리스, 미국, 칠레 출신 이사)는 "회원국들로부터 최종 초안 내용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견을 받았고, 투표의 의미에 대한 많은 질문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IHO의 기술적 범위를 넘어서는 문제"라는 입장을 발표하며 해당 최종 초안(일본해/동해 부분 공란 처리)을 철회했다.

S-23 제3판이 제정된 지 오래되어 개정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지만, 2007년 제17회, 2012년 제18회 IHO 총회에서도 동해 명칭 문제를 둘러싼 대한민국과 일본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아 제4판 개정은 계속 미뤄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Japan Sea''"가 단독 표기된 1953년 제3판이 여전히 현행판으로 사용되고 있다.[16]

2002년 6월에 작성되어 같은 해 8월 회원국에 회람되었으나 승인되지 못한 S-23 제4판 초안은 공식 문서가 아닌 작업 문서 상태로 남아있다. 해당 초안 문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총 249페이지 분량의 이 초안은 해역 번호 체계를 변경하여, 전 세계를 10개의 주 해역으로 나누고 각 주 해역 내에서 세부 지역 해역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예를 들어, 북태평양의 주 번호는 "7"이며(CHAPTER 7 NORTH PACIFIC OCEAN), 일본 주변의 주요 지역 해역 코드는 다음과 같이 제안되었다.

코드영문 명칭국문 명칭
7.1PHILIPPINE SEA필리핀해
7.2T'AI-WAN STRAIT대만 해협
7.3EAST CHINA SEA동중국해
7.4YELLOW SEA황해
7.4.1BO HAI발해
7.4.2LIAODONG WAN랴오둥만
7.5SETO NAIKAI세토 내해
(7.6)(Blank)(공란)
7.6.1TATARSKIY PROLIV타타르 해협
7.7SEA OF OKHOTSK오호츠크해



위 표와 관련 지도에서 코드 7.6이 동해가 위치한 수역에 해당하지만, 초안의 해당 부분(7-16, 7-17 페이지)은 어떠한 명칭도 기재되지 않은 완전한 공란으로 처리되어 있다. 이는 동해 명칭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반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First Assembly of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 https://hydro-intern[...] 2019-04-17
[2] 웹사이트 IMO takes the e-navigation reins https://web.archive.[...] 2019-04-17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Brochure https://iho.int/iho_[...] 2022-05-14
[4] 서적 Report of proceedings https://archive.org/[...] Brussels 1908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https://www.hydro-in[...] 2024-11-30
[6] 논문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 an effective international regime? https://www.tandfonl[...] 1999-08
[7] 논문 The IHO and its Secretariat - an updated history - https://iho.int/uplo[...]
[8] 논문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 an effective international regime? https://doi.org/10.1[...] 1999-07
[9] 웹사이트 IHO website www.iho.int
[10]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 Terminautical https://terminautica[...] 2024-11-30
[11] 서적 IHO Transfer Standard for Digital Hydrographic Data (S-57)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http://dx.doi.org/10[...] Elsevier 2024-11-30
[12] 웹사이트 IHO Publications https://www.hydro-in[...] 2024-12-05
[13] 서적 IHO S-100: Universal Hydrographic Data Model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17
[14]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05-26
[15]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Draft 4th Edition https://legacy.iho.i[...]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1-01-08
[16] 논문 A New Digital Map of Limits of Oceans and Seas Consistent with High-Resolution Global Shorelines https://www.research[...]
[17] 문서 国際水路機関条約 https://www.mofa.go.[...] 외務省
[18] 웹사이트 IHO Secretariat Staff https://www.iho.int/[...] IHO
[19] 웹사이트 国際水路機関(IHO)での取り組み https://www.mofa.go.[...] 2017-05-30
[20] 웹사이트 About the IHO http://www.iho.int/s[...] 2017-05-30
[21] 웹사이트 国際水路機関の現状と将来(組織改革) http://www.jsurvey.j[...] 日本測量者連盟 2017-05-30
[22]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http://www.iho.int/i[...]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3] 이미지 http://www.iho.int/i[...]
[24] 웹사이트 6月21日は「世界水路の日」 https://www.kaiho.ml[...] 海上保安庁 2017-11-20
[25] 뉴스 '동해·일본해' 23년 논쟁 끝날 듯...국제 해도 '이름 대신 고유번호' https://www.ytn.co.k[...]
[26] 웹사이트 IHO MEMBER STATES http://www.iho-ohi.n[...]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10-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